우리 한국의 무속신(巫俗神)으로 미국의 맥아더 장군이 등장하고 있다는 보도에 접하고 퍽 흥미있게 생각했다. 서울 동대문 밖 40대의 한 보살이 맥아더 장군의 영력(靈力)을 받아 신당(神堂)을 만들고 양담배로 공양한 것이 양담배 단속반에 걸려 들추어진 것이다. 이 외래신(外來神)에게 바친 제물이 선글라스, 쌍안경, 곤방대란 것은 이해가 가지만 미국사람이기에 국산담배 아닌 양담배로 공양한다는 발상이 재미있다.
맥아더 장군을 신격화한 것은 기발하지만 그러할 수 있는 우리 한국인의 신앙적 특성은 역사적으로 보아 그다지 새삼스러운 것은 못 된다.
우리 옛 한국인은 원한품고 죽은 사람을 신격화(神格化)하여 그 원한을 공감하는 것이 한국신앙의 두드러진 특성이었다. 신하에게 시해당한 공민왕, 고려사직을 지키려다 살해당한 최영 장군, 억울하게 여생을 산 단종비 송씨(端宗妃 宋氏), 젊은 나이에 모해(謀害)당한 남이(南怡)장군이 신격화 되어 신앙된 것 등이 그것이다. 한국사람 입장에서 보면 맥아더 장군도 그의 뜻을 못 이루고 해직당한 것이 원한으로서 공감됨직하다.
다른 한 우리 전통적 신앙의 특성으로 이단(異端)의 종교나 신을 너그럽게 수용, 평화롭게 공존하는 절충 융합적인 측면에서 맥아더신(神)의 탄생을 이해할 수도 있다. 이단을 추호도 용납하지 않기로 십자군 원정(十字軍 遠征)이며 백년전쟁 같은 전쟁을 야기하고 또 회교도가 싫어하는 돼지를 회교도의 집에 몰아넣었다는 단지 그 한 이유만으로 힌두교도와 전쟁을 일으키는 그런 일신교(逸神敎)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절에 가면 부처님을 모시는 대웅전(大雄殿)과 전통무속(巫俗)신앙인 산신각(山神閣)과 도교(道敎)에서 비롯된 칠성각(七星閣)이 나란히 평화공존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 그토록 많이 명멸(明滅)했던 신흥 종교(新興 宗敎)의 거의가 유불선(儒佛仙)의 절충 종교였던 것도 그렇다. 일제 때 서울 무당조합의 대표들이 기독교 선교사들로부터 교리를 듣고나서 하는 말이 `예수그리스도는 훌륭한 가르침을 내려주신 것 같습니다. 우리들은 조속히 산신령(山神靈)과 더불어 그리스도를 모시고 우리에게 이따금 강신(降神)해줄 것을 빌겠습니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다. 선교사들이 얼마나 기겁했을까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 모두 이 세상에 존재한 것은 비단 이단일지라도 존재가치를 인정 수용하고, 절충하려는 한국인의 사고방식의 나타남이랄 수 있다. 하물며 국제화 시대인지라 별반 심리적 갈등을 느끼지않고 맥아더 장군을 무속신(巫俗神)으로 신격화할 수 있었음직하다. 문제는 맥아더 장군이 저승에서 줄담배 피우며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가 자못 궁금할 따름이다.
맥아더 장군을 신격화한 것은 기발하지만 그러할 수 있는 우리 한국인의 신앙적 특성은 역사적으로 보아 그다지 새삼스러운 것은 못 된다.
우리 옛 한국인은 원한품고 죽은 사람을 신격화(神格化)하여 그 원한을 공감하는 것이 한국신앙의 두드러진 특성이었다. 신하에게 시해당한 공민왕, 고려사직을 지키려다 살해당한 최영 장군, 억울하게 여생을 산 단종비 송씨(端宗妃 宋氏), 젊은 나이에 모해(謀害)당한 남이(南怡)장군이 신격화 되어 신앙된 것 등이 그것이다. 한국사람 입장에서 보면 맥아더 장군도 그의 뜻을 못 이루고 해직당한 것이 원한으로서 공감됨직하다.
다른 한 우리 전통적 신앙의 특성으로 이단(異端)의 종교나 신을 너그럽게 수용, 평화롭게 공존하는 절충 융합적인 측면에서 맥아더신(神)의 탄생을 이해할 수도 있다. 이단을 추호도 용납하지 않기로 십자군 원정(十字軍 遠征)이며 백년전쟁 같은 전쟁을 야기하고 또 회교도가 싫어하는 돼지를 회교도의 집에 몰아넣었다는 단지 그 한 이유만으로 힌두교도와 전쟁을 일으키는 그런 일신교(逸神敎)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절에 가면 부처님을 모시는 대웅전(大雄殿)과 전통무속(巫俗)신앙인 산신각(山神閣)과 도교(道敎)에서 비롯된 칠성각(七星閣)이 나란히 평화공존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 그토록 많이 명멸(明滅)했던 신흥 종교(新興 宗敎)의 거의가 유불선(儒佛仙)의 절충 종교였던 것도 그렇다. 일제 때 서울 무당조합의 대표들이 기독교 선교사들로부터 교리를 듣고나서 하는 말이 `예수그리스도는 훌륭한 가르침을 내려주신 것 같습니다. 우리들은 조속히 산신령(山神靈)과 더불어 그리스도를 모시고 우리에게 이따금 강신(降神)해줄 것을 빌겠습니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다. 선교사들이 얼마나 기겁했을까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 모두 이 세상에 존재한 것은 비단 이단일지라도 존재가치를 인정 수용하고, 절충하려는 한국인의 사고방식의 나타남이랄 수 있다. 하물며 국제화 시대인지라 별반 심리적 갈등을 느끼지않고 맥아더 장군을 무속신(巫俗神)으로 신격화할 수 있었음직하다. 문제는 맥아더 장군이 저승에서 줄담배 피우며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가 자못 궁금할 따름이다.
'대화와 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적표 (0) | 2004.04.27 |
---|---|
인간의 꼬리 (0) | 2004.04.27 |
아침밥 거르면 뇌 기능 뚝! (0) | 2004.04.27 |
탄력있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제안 (0) | 2004.04.27 |
흡연 가정 아이들 이빨 쉽게 썩는다 (0) | 200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