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인류문명의 시작 이래로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주술사들이 소리와 음률 및 주술을 사용하여 환자들을 치료하고자 했던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음악치료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헌적 기록은 성서에 있다. 구약의 목동 다윗이 사울 왕의 질병을 위해 하프를 연주할 때 악신이 떠나고 제정신이 들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런 예들은 당시 사람들의 음악을 이용한 치료에 관한 인식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악이 치료적 목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하더라도 과학적 연구와 관찰을 통해 전문적 영역으로 자리잡게 된 것은 불과 수십년 전의 일이다.
⊙ 음악 치료의 역사적 배경
세계 제2차 대전의 발발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통한 심신의 상처를 입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많은 부상 군인들이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게 되었는데, 이 환자들을 돕기 위해 음악인들이 병원에서 음악을 연주하게 되었다. 환자들의 음악적 경험은 의료진이 예상치 못했던 긍정적 결과을 양산하게 되어 음악의 치료적 효과가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 후 음악을 치료적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대두되면서 음악치료사를 양성하는 학교가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에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1950년에 전미국 음악치료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NAMT) 가 결성되어 음악치료사의 학위 취득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과 훈련과정에 관한 기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현재는 음악치료에 대한 이념과 훈련과정에 대한 이견으로 다르게 결성된 또 다른 미국음악치료협회(Americ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AAMT)와 통합되었다.
⊙ 음악 치료의 목적
현대 음악치료는 이전의 개인이 연주만 하는 기능에서 음악을 도구로 활용하여 인간의 문제 행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치료하는 것으로 '인간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즉, 음악치료는 음악활동이 목적이 아니라 치료를 위해 음악을 도구로 활용하여 음악외적인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체계적인 치료의 과정"을 통해 변화되어진다.
구체적인 행동목표를 정해서 미리 계획, 준비, 작성, 적용하여 행동의 반응을 보고 목적을 수행해 나가는 것이다.
음악치료는 부정적인 경험들을 치료과정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다시 경험하도록 이끌어 내면서 증상을 치료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현재 몸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서 음악을 선택해 치료한다.
음악치료는 행동주의기법만 사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행동 과학법을 사용한다고 해야 한다. 왜냐 하면 인지, 행동 등 여러 이론을 활용하여 음악적 도구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 변화를 가져오는 음악치료의 3가지 영역
(1) 생물학적인 면(Biological Level, 신체, 생리적인 영역)
① 신체, 생리적인 영역 전반적인 기능에 영향을 주는 음악을 선택한다.
② 신체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음악을 선택
③ 신체이완을 시킬 수 있는 음악을 선택한다 : 오디오 치료, 고통감소, 수면…….
(2) 심리적인 면(Phychological Level)
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음악을 사용
② 음악 자극에 대처할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음악을 사용
③ 심리적 방어나 정서적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음악을 사용
④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음악을 사용.
⑤ 개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음악 사용
(3) 사회적인 면(Social Level) : 관계(치료사와 환자. 사람과 사람)에 초점을 둔다.
① 사회적인 고립감을 줄이기 위한 음악을 사용
② 친밀감이나 수용 능력 및 울적함을 자극시킬수 있는 음악을 사용한다.
③ 사회적 지지체계를 마련해 주는 음악을 사용
④ 민속음악이나 예술음악중 적합한 음악을 선택하여 사용.
⑤ 장기간 음악치료에 사용되는 음악들은 신체적 자아, 정서적 자아, 심리적 자아, 영혼적 자아에 영향을 주어 성격변화 및 삶의 질을 높여주는 음악으로 사용된다.
'믿음 소망 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신병에 대한 편견과 오해 (0) | 2004.04.22 |
---|---|
고난받는 믿음의 축복 (0) | 2004.04.22 |
내가 반드시 너와 함께 하리니 (0) | 2004.04.21 |
사랑의 방에 대하여 (0) | 2004.04.21 |
기도에 대한 깨달음 (0) | 200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