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과 은혜

기독교 교역(Christian Ministry)이란 ?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2004. 6. 10. 09:20

주영과 주찬

 

토마스 오덴은 그의 저서 '목회신학'에서 기독교교역의 핵심을 갈파하고 있다:
목사의 모든 다양한 활동은 하나의 중심, 즉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에 집중된다.

목회신학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이라는 하나의 중심을 현대인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가르치며 교역의 하나 하나의 기능을 이 중심과 연관시켜 수행하려고 한다. 모든 교역의 핵심은 우리를 위하여 그리고 우리를 통하여 수행하시는 그리스도 자신의 사역이지만, 그 사역은 우리의 언어를 통하여, 우리가 수행하는 일을 통하여, 그리고 은밀하게는 우리의 육체적인 현존(bodily persence)을 통하여 불완전하게나마 구체화된다(Oden, 1987:30).

 

여기에서 오덴이 주장하고 있는 기독교 교역의 핵심은

① 모든 교역활동은 그리스도안에서의 삶에 집중된다.

② 모든 교역활동은 하나 하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이라는 구심점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③ 기독교 교역은 그리스도 자신이 그리스도인들을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④ 그러나 기독교 교역은 그리스도인들의 사역과 언어와 육체적인 현존을 통하여 구체화되어 간다. 토마스 오덴은 이러한 주장을 하면서 목사의 모든 역할, 사명, 의무, 사역은 이러한 구심점에 의하여 일관성 있게 감당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덴은 다시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교역은 반드시 필요한가?"하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만일 하나님이 교회를 세상에 세우기로 작정하시고(타락한 피조물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동참하기 위하여)교회를 인도하기 위하여 일정한 수단들을 제공하기로 작정하셨다면, 우리는 교역이 부수적인 필연성을 가졌다고 말할 것이다."라고 대답한다(ibid. 50).

 그렇기 때문에 교역은 "하나님이 그 수단들을 제공해 주시는 한도에서만 존재의 의미를 갖게"된다고 강조한다(ibid.51).

하나님께서 분명한 목적을 갖고 교회를 세우셨으며, 교역을 계획하셨고 그 교역을 실천할 수 있게 사람들을 찾아오셔서 교역에 필요한 수단들을 제공하여 그리스도의 교역에 동참하게 하시지만, 인간은 그 하나님의 뜻을 거절하고 왜고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자유의지를 남용하여 이미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창조의 세계를 타락시킨 바 있다.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교역의 근본의미를 망각하고 남용할 가능성이 충분히 남아 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안에서의 삶에 구심점을 둔 그리스도의 교역은 우리에게 찾아 오셔서 하나님의 뜻과 계획으로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성령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성령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기전에는 불가능한 과제라고 할 것이다